아르바이트 월급 계산, 주휴수당 포함 정확히 얼마 받아야 할까?
최저시급, 주휴수당, 4대 보험까지 꼼꼼하게 따져야 진짜 내 월급! 근무일 수 기준으로 합리적 계산법 정리했어요 💰🧾
안녕하세요! 저도 알바하던 시절 월급 날마다 통장을 들여다보며 '이 금액이 맞나?'라는 생각 많이 했어요. 특히 주휴수당이 포함된 건지, 4대 보험은 어떻게 빠졌는지 헷갈릴 때 많죠. 오늘은 하루 10시간씩 주 5회 근무하면서 7월 2일 + 8월 21일, 총 23일 근무한 사례를 중심으로, 월급 계산법을 아주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 주휴수당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도 함께요!
목차
최저시급과 기본 급여 계산 방법
2025년 최저시급은 9,860원입니다. 하루 10시간씩 일한다면 하루 기본 임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근무시간 | 시급 | 일급 |
---|---|---|
10시간 | 9,860원 | 98,600원 |
주휴수당이란? 계산 기준과 조건
주휴수당은 1주 15시간 이상 근무 & 주 5일 이상 근무 시, 유급으로 하루치 시급을 더 주는 제도예요. 10시간씩 5일 근무라면 요건 충족입니다.
주 5일 기준이면 1주당 1일치 시급 × 일일 근무시간이 주휴수당입니다.
- 일당: 9,860원 × 10시간 = 98,600원
- 주휴수당: 주 1회 × 98,600원 = 98,600원
- 월 4.33주 기준: 98,600원 × 4.33주 ≒ 427,918원
23일 근무 시 예상 월급 총액 계산
- 기본급: 98,600원 × 23일 = 2,267,800원
- 주휴수당: 주 1회 × 98,600원 × 4.33주 = 약 427,918원
- 총 지급액: 2,267,800 + 427,918 ≒ 2,695,718원
4대보험 공제 후 실제 수령액
4대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자가 반반 부담합니다. 아래는 2025년 기준 예시 공제율 기준입니다.
항목 | 공제율 | 예상 공제액 |
---|---|---|
국민연금 | 4.5% | 약 121,300원 |
건강보험 | 3.545% | 약 95,600원 |
장기요양 | 0.46% | 약 12,400원 |
고용보험 | 0.9% | 약 24,300원 |
총 공제 | 약 253,600원 |
실수령액 = 총 지급액 2,695,718원 - 공제액 253,600원 = 약 2,442,118원
이 정도 받으셨다면 정상입니다! 단, 공제액은 직장에 따라 조금 달라질 수 있어요.
주휴수당 최대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
주 5일 10시간 근무라면 주휴수당은 주 1일치 임금, 즉 98,600원이고, 이를 1달 평균 4.33주로 곱하면 월 약 427,918원입니다. 즉, '40만원 이상' 받는 게 정상이며, 더 많거나 적다면 계산 다시 해보는 게 좋아요.
내 월급 이상 없는지 확인하는 체크리스트
- 근무일수 × 일급 = 기본급 확인
- 주휴수당 포함 여부 (주 15시간 이상 + 주 5일 이상)
- 4대보험 공제액이 과한지 체크
- 야간/휴일수당 따로 지급되었는지
- 급여명세서 받았는지 (법적 의무)
네.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은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하며, 주휴일 전에 결근이 없어야 주휴수당이 지급됩니다.
주 15시간 이상, 1개월 이상 근무 시 4대보험 가입 대상입니다. 일부 단기알바는 예외이지만, 본 사례는 가입 대상입니다.
네. 수습이라도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결근 없이 근무했다면 주휴수당 받을 수 있습니다.
가능하지만, 반드시 주휴수당 포함 시급이라는 명확한 표기가 계약서에 있어야 법적 효력이 있습니다.
당연히 가능합니다! 급여명세서 요청은 근로자의 권리이며, 명세서 발급은 2021년부터 의무입니다.
월급날, 내가 받은 돈이 맞는 건지 애매할 때가 많죠. 이번 글처럼 직접 계산해보면 누락된 금액이나 잘못된 공제를 확인할 수 있어요. 정확한 시급, 주휴수당, 4대보험까지 체크하는 습관은 정말 중요합니다. 나의 노동에 정당한 대가를 받는 일, 우리 모두 당당하게 챙겨요!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로 소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